-
[Softeer][21년 재직자 대회예선] 마이크로서버카테고리 없음 2024. 9. 29. 15:07
https://softeer.ai/practice/6264
Softeer - 현대자동차그룹 SW인재확보플랫폼
softeer.ai
문제:
당신은 현대자동차그룹의 다양한 부서들이 사용하는 마이크로서비스들이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클러스터는 여러 대의 마이크로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서버는 정확히 1000MiB의 메모리(RAM)를 갖고 있는데, 이 중 100MiB는 예비용으로 남겨 두기 때문에, 실제로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는 총 900MiB이다. 하나의 마이크로서버에 여러 개의 마이크로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 때 마이크로서비스들이 사용하는 메모리의 총합은 900MiB를 넘을 수 없다. 현재 총 N개의 마이크로서비스가 실행 대기중이다. 이 중 i (1 ≤ i ≤ N)번째 서비스는 정확히 mi MiB의 메모리를 요구한다. 각각의 서비스는 최소 300MiB, 최대 900MiB의 메모리만을 요구하고 있다.
모든 마이크로서비스들을 실행하기 위해 최소 몇 대의 마이크로서버가 필요한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제약조건
주어지는 모든 수는 정수이다.
하나의 입력에서 1개 이상 1,000개 이하의 테스트 케이스를 해결해야 한다.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 1 ≤ N ≤ 100,000
* 모든 i (1 ≤ i ≤ N)에 대해, 300 ≤ mi ≤ 900
하나의 입력에서 주어지는 모든 N의 합은 200,000 이하이다.
입력형식
첫 번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이후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2·T개의 줄에 T개의 테스트 케이스들이 주어진다. 이후 해당 케이스의 정보가 이어서 첫 번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 m1, m2,…, mN이 공백 하나씩을 사이로 두고 주어진다.
출력형식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한 줄에 하나씩, 순서대로, 필요한 최소 마이크로서버의 수를 출력한다.입력예제1
2 3 300 300 300 4 300 300 300 300
출력예제1
1 2
테스트 케이스 1: (서비스 1, 서비스 2, 서비스 3) 모두 한 서버에 두면 900MiB를 사용하므로 조건을 만족한다.
테스트 케이스 2: 두 대의 마이크로서버를 사서, (서비스 1, 서비스 2)를 한 서버에, (서비스 3, 서비스 4)를 다른 서버에 두면 각 서버에서 600MiB를 사용하므로 조건을 만족한다.입력예제2
3 2 300 400 2 800 900 5 500 501 350 400 444
출력예제2
1 2 3
테스트 케이스 3: (서비스 1, 서비스 4), (서비스 2), (서비스 3, 서비스 5)를 각각 한 마이크로서버에서 실행하면, 각각 900MiB, 501MiB, 794MiB를 사용하여서 조건을 만족한다.
접근법
투 포인터로 접근하는게 최선일것 같았다..!(조합최적?)
우선 정렬을 거친 후 조건을 확인, MIN이 300임으로 600이상인 서비스의 경우 모두 별도의 알고리즘 처리 없이 서버의 수를 1늘려준다.
그리고 남은 서비스들에 관해 투포인터로 접근하여 while문을 내부에서 한번 더 돌려주었다.
풀이 핵심 1: 600이상면 무조건 서버 배정(min이 300임으로)
틀린풀이(1차 접근)
def minimum_servers(test_cases): #for all test case results = [] for services in test_cases: # 먼저 서비스를 정렬 services.sort() left, right = 0, len(services) - 1 servers = 0 # 투 포인터로 작은 서비스들과 큰 서비스들을 나눠서 배치 while left <= right: # 600MiB 이상의 서비스는 큰 서비스부터 단독으로 배치 if services[right] >= 600: servers += 1 right -= 1 else: sum_services = services[right] while sum_services + services[left] <= 900 and left <= right: left += 1 sum_services = sum_services + services[left] right -= 1 servers += 1 results.append(servers) return results # 입력 처리 T = int(input()) # 테스트 케이스 수 test_cases = [] for _ in range(T): N = int(input()) # 서비스 수 services = list(map(int, input().split())) test_cases.append(services) # 결과 계산 및 출력 results = minimum_servers(test_cases) for res in results: print(res)
위와 같이 풀었을 때 공개된 case는 통과하였지만, 제출 시 통과하지 못했다..!
왜 그럴까..!
예를 들어 300 300 300 450 450 인 경우가 있다면 모두 앞뒤로 짝을 이루는것보다 450, 450씩 짝을 짓는 것이 더 나은 선택지이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접근해야할까??
아이디어 2: 300의 개수를 잘 세자
틀린풀이 2 300씩 3개를 먼저 묶을까..?
def minimum_servers(test_cases): results = [] for services in test_cases: # 서비스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services.sort() left, right = 0, len(services) - 1 servers = 0 # 300MiB 서비스를 먼저 처리 num_300 = 0 while left <= right and services[left] == 300: num_300 += 1 left += 1 # 300MiB 서비스는 3개씩 한 서버에 배치할 수 있음 servers += num_300 // 3 num_300_remainder = num_300 % 3 left -= num_300_remainder # 600MiB 초과의 서비스는 단독 배치 while left <= right and services[right] > 600: servers += 1 right -= 1 # 남은 서비스 처리 (600MiB 이하인 서비스들) while left < right: sum_services = services[right] while left < right and services[left] + sum_services <= 900: left += 1 sum_services = sum_services right -= 1 servers += 1 # 마지막으로 남은 서비스가 있으면 처리 if left == right: servers += 1 results.append(servers) return results # 입력 처리 T = int(input()) # 테스트 케이스 수 test_cases = [] for _ in range(T): N = int(input()) # 서비스 수 services = list(map(int, input().split())) test_cases.append(services) # 결과 계산 및 출력 results = minimum_servers(test_cases) for res in results: print(res)
틀림! 300 300 300 400 500 600 -> 300 300 300 / 400 / 500 / 600 이렇게 4개보다 300과 나머지로 짝을 이으면 3개만 필요
최종 풀이
아래 영상을 참고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6I5oFTFRIw
def minimum_servers(test_cases): results = [] for services in test_cases: # 서비스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services.sort() left, right = 0, len(services) - 1 servers = 0 # 600MiB 초과의 서비스는 단독 배치 while left <= right and services[right] > 600: servers += 1 right -= 1 #600은 딱 300과만 match while left < right and services[left]==300 and services[right]==600: servers +=1 left += 1 right -= 1 # 이후 남은 300MiB 서비스의 수를 세기 num_300 = 0 while left <= right and services[left] == 300: num_300 += 1 left += 1 # 남은 서비스 처리 (300~600사이 서비스들) while left < right: if services[left] + services[right] <= 900: left += 1 right -= 1 servers += 1 elif num_300 >0: servers += 1 num_300 -= 1 right -= 1 else: servers += 1 right -= 1 # 마지막으로 남은 서비스가 있으면 처리 if left == right and services[left] != 300: servers += 1 if num_300 >0: num_300 -= 1 if num_300 > 0: servers += (num_300 + 2)//3 num_300 = 0 results.append(servers) return results # 입력 처리 T = int(input()) # 테스트 케이스 수 test_cases = [] for _ in range(T): N = int(input()) # 서비스 수 services = list(map(int, input().split())) test_cases.append(services) # 결과 계산 및 출력 results = minimum_servers(test_cases) for res in results: print(res)
결국은 300을 어떻게 처리하는가가 핵심인 문제였다.
또 300은 여러가지로 조합이 가능하기에 큰 숫자들을 우선 처리하는것도 중요해던 구간을 나누는게 중요했던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