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자연어처리론] 자연어처리 개요전공&대외활동 이야기/자연어처리론(Stanford CS224N&HYU class)) 2024. 10. 30. 10:37
본 자료는 한양대학교 자연어처리론 김태욱 교수님의 자료 및 Standofrd NLP CS224N과 추가적인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What is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mputers and humans through natural language. The ultimate goal of NLP is to enable computers to understand, interpret, and generate human language in a way that is both meaningful and useful. 즉, ..
-
[시스템프로그래밍] Standard I/O Library개발 이야기/운영체제(OS)&시스템프로그래밍 2024. 10. 21. 04:00
본 내용은 한양대학교 조인휘 교수님의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Standard I/O LibraryStandard I/O Library(표준 입출력 라이브러리)는 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파일 및 콘솔 입출력 작업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표준 함수들의 집합이다. 이들은 Buffer를 이용하고 시스템 레벨의 파일 입출력보다 고수준의 기능을 제공한다. ISO C standard를 따른다. Stream표준 스트림이란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환경(단말기) 사이에 미리 연결된 입출력 통로를 의미한다. Buffering버퍼링은 UNIX Overview에서 작성한 것과 같이 입출력 성능을 위해 데이터를 바로바로 처리하지 않고 임시 저장소에 쌓아 두었다가 한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Files and Directories / 권한에 관해개발 이야기/운영체제(OS)&시스템프로그래밍 2024. 10. 21. 03:10
본 내용은 한양대학교 조인휘 교수님의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stat, f stat, and lstat#include int stat(const char *pathname, struct stat *buf);int fstat(int filedes, struct stat *buf);int lstat(const char *pathname, struct stat *buf); 파일의 속성 정보, 즉 메타데이터를 가져오는 system call이다(from inode). stat(): 지정한 파일 경로에 대한 파일 정보를 가져옴, 심볼릭 링크가 있는 경우 그 링크가 가리키는 실제 파일의 정보 반환fstat(): 열려있는 파일 디스크립터로부터 파일 정보를 가져옴lstat(): 심볼릭 링크..
-
[시스템 프로그래밍] File I/O개발 이야기/운영체제(OS)&시스템프로그래밍 2024. 10. 21. 00:34
본 내용은 한양대학교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 조인휘 교수님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함수 및 명령어 설명만 작성되었으며 버전에 따라 틀린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File Descriptors이전 내용에서 말한 것과 같이 non negative integer로 구성된 File을 구분하기 위한 개념이다. 즉,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 체제가 각 프로세스마다 관리하는 테이블의 인덱스이다. 이 테이블에는 파일 또는 입출력 자원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저장되어있다. 파일을 이용 시 운영 체제는 해당 자원을 식별하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반환하며 이를 통해 read, write, close 작업을 진행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프로세스에는 0,1,2는 이미 할당되어있다. 표준 입력 (stdin): 파일..
-
[시스템프로그래밍] UNIX System Overview개발 이야기/운영체제(OS)&시스템프로그래밍 2024. 10. 20. 22:35
본 내용은 한양대학교 조인휘 교수님의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왜 운영체제와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공부해야하는가?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하드웨어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공부하는 내용이다. 운영체제와 같은 kernel 및 핵심 library를 직접 사용하여 Low-level에서 동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기술이다. 수업의 내용에 따라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1. Unix System Overview / Unix Standardization and Implementations2. File에 관한 내용: File I/O, Files and Directories, Standard I/O Librar..
-
[DB] SQL2: SELECT와 Relational Algebra 중심으로(조회)개발 이야기/DB(데이터베이스) 2024. 10. 19. 17:02
SELECT S.snameFROM Sailors SJOIN Reserves R ON S.sid = R.sidWHERE R.bid = 102;일단 그 전에 용어를 간단히 짚고 넘어가면 아래와 같다. 데이터 베이스와 스키마는 Database(Schema): Set of named Relations, 즉 여러 table이 있는 공간이다. Relation(Table)은 문자 그대로 table 형태, 데이터가 저장될 형태를 말하며 이 때 내부적으로 Schema는 description (“metadata”)을 의미하고 Instance는 set of data satisfying the schema을 뜻한다. Attribute(Column, Field)는 각 속성을 의미하고 Tuple(Record, Row)은 행 형태..
-
[DBMS] SQL1 - Schema definition & Update & Insert 위주로개발 이야기/DB(데이터베이스) 2024. 10. 18. 13:24
본 글은 https://rebro.kr/147와 한양대학교 차제혁 교수님의 데이터베이스시스템및응용 수업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수업 중에 Postsql을 사용하여 관련된 내용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SQL이란?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줄임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에서 데이터를 관리,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1970년대 IBM에서 SEQUEL(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되었으며, 후에 Structured Query Language로 다시 이름이 지어졌다. SQL 문법의 종류는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 Data Definition Language (DDL) : Sche..
-
[DB][실습] PostgreSQL 설치 및 Query사용법개발 이야기/DB(데이터베이스) 2024. 10. 18. 12:22
PostgreSQL을 설치하고 간단히 과제를 수행하면서 실습을 진행해보려고 한다. PostgreSQL이란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ORDBMS 중 하나이다. 즉 기본적으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지만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연관되는 기능이 포함되어있다(실습에서는 RDBMS의 기능들을 위주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고잉님의 PostgreSQL 입문수업을 위주로 공부해보자!https://youtu.be/dKuLA5BGPTY?si=Wyb9_VcgsxPJvmkv PostgreSQL 설치 및 실행(window 기준)https://www.postgresql.org/ PostgreSQLThe world's most advanced open source database.www.postgresql.org 위의 사이트에서 Do..